오늘의 포스팅에서는 캔들 패턴 매매법 중 하나인 Order Block(OB)에 대해 알아보고, 실제 매매에서 진입 라인과 익절, 손절 라인을 작도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드려보도록 하겠습니다.
오더블록 (Order Block) 캔들 패턴 분석 매매법 알아보기
1. Order Block은 어떤 캔들인가?
오더블록을 한 문장으로 설명하면, "점유형 캔들이 두 번 연속 발생한 패턴"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그 패턴에서 중간에 있는 캔들을 기준점으로 잡게 됩니다.

Bullish 오더블록 캔들
① 양봉 캔들 생성
② 직전 캔들의 크기를 넘는 음봉 캔들 생성
③ 직전 캔들의 크기를 넘는 양봉 캔들 생성
즉, 양봉 캔들을 시작으로 앞선 캔들을 잡아먹는 점유형 캔들이 두 번 연속 생성된 모습
Bearish 오더블록 캔들
① 음봉 캔들 생성
② 직전 캔들의 크기를 넘는 양봉 캔들 생성
③ 직전 캔들의 크기를 넘는 음봉 캔들 생성
즉, 음봉 캔들을 시작으로 앞선 캔들을 잡아먹는 점유형 캔들이 두 번 연속 생성된 모습
오더 블록 패턴 해석
점유형 캔들은 추세반전형 캔들로써 직전 캔들의 반대 추세로 가려는 움직임이 포착되는 캔들입니다.
하지만 점유형 캔들이 한번 더 발생하게 되면, 직전 추세반전형 캔들을 무효화하고 원래의 추세대로 가격의 흐름을 유지시키려는 가격싸움이 심하게 일어난 구간이라고 해석할 수 있겠습니다.
거기에 충분한 거래량까지 동반된다면 오더블럭 패턴의 신뢰도가 더해지게 되겠죠.
2. 차트에서 Order Block 패턴 찾아보기
아래의 차트는 BTCUSDT.P 4시간 봉 차트의 8월 초 구간입니다. 70k 구간에서 49k 구간까지 내려갈 때 Bearish 오더블럭 패턴을 찾을 수 있고, 49k에서 반등이 나오며 Bullish 오더블럭 패턴을 찾을 수 있습니다.

오더블럭 패턴을 찾았으면, 차트상에 표기를 위해 트레이딩뷰의 도형 작도 툴 중 네모를 찾아 해당 오더블럭 패턴의 기준점 캔들(3개 중 중간)에 작도를 만들어줍니다.

위의 사진과 같이 네모 도형의 오른쪽 연장을 하고 싶다면 네모 작도를 선택 후 설정에 들어가 "익스텐드 라이트" 옵션에 체크를 해주시면 됩니다.

3. 오더블럭을 기준으로 매매하기
오더블럭 캔들을 찾아 작도를 진행했으면, 기준점 캔들을 기준으로 진입과 손절 구간을 지정할 수 있습니다.
진입/손절 구간 설정
Bearish Order Block 캔들 기준
진입 : 캔들의 시가($64,146), EQ값(캔들 몸통의 중간값, 64,393), 종가(64,640)에 숏포지션 진입
손절 : 캔들의 고가라인($64,957.4)에 설정

하지만, 기준점 캔들(가운데 캔들)의 고점에 손절라인을 설정하면 손절가만 터치하고 지나갈 수 있어서 손절가격을 조금 여유롭게 변경해주는게 좋습니다.
기준점 캔들이 아닌 Order Block 패턴에서 가장 높은 가격($65,534.3)에 손절가를 설정하면 스탑헌팅을 당하는 케이스를 줄일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이 손절라인을 변경하고, 차트 백테스팅을 진행해 보겠습니다.

Bearish 오더블럭 구간에서 저항이 나왔고, 기존 손절가를 두 번 터치하는 모습과 변경된 손절가는 터치하지 않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만약 손절가를 변경하지 않고 기존 손절가를 유지했다면 스탑헌팅만 당하는 결과가 나오게 됐겠네요.

지지 구간을 분석해서 롱 포지션을 잡고 싶을때는 같은 원리로 Bullish 오더블록 패턴을 분석해서 진입 타점을 잡아보시면 됩니다.
4. 마무리
그밖의 질문은 곰지네 오픈톡방에서 해주시면 아는 선에서 답변해 드리겠습니다. 포스팅을 원하는 내용이 있을 경우 톡방에서 제안해 주시면 콘텐츠 제작에 참고하도록 하겠습니다.
곰지네 시즌띠였습니다. 좋은 하루 보내세요.
'가상화폐 > 차트, 트레이딩, 매매방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트레이딩 대회 거래소별 일정과 상금 요약 정리 (3) | 2025.03.31 |
---|---|
비트코인 청산맵 보는 방법 및 무료로 보는곳 알아보기 (4) | 2024.09.21 |
트레이딩뷰 알람 보조지표 얼러트 설정 방법 (0) | 2024.09.15 |
수평 거래량 지표 FRVP 알아보기 (0) | 2024.09.03 |
워뇨띠 근황, 매매법 알아보기 (600만 원 → 3,000억 원) (0) | 2024.08.0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