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바이비트 거래소에서 선물 거래하는 방법을 쉽고 자세하게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비트코인 숏 포지션을 직접 잡아보면서 중간에 나오는 용어들을 하나씩 정리하는 방식으로 포스팅을 진행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바이비트 선물거래 방법 : 숏치는법 알아보기
1. 바이비트 입금하기
국내 거래소에서 바이비트로 입금하는 방법을 아래 포스팅에 자세히 작성해놨습니다. 천천히 따라 해 보시기 바랍니다.
참고 링크
1) 바이비트 입금 방법 : 트래블룰 이후(업비트 → 바이비트)
2. 자금 이체하기
바이비트 사이트 상단의 'Assets(자산)' → 'Assets Overview(자산 개요)'로 들어갑니다.
그다음 'Transfer(전송)' 버튼을 찾아 클릭합니다.
Spot(현물)에서 Derivatives(파생상품) 계정으로 USDT를 보냅니다. 저는 100 USDT 보내겠습니다.
Assets(자산) → Assets Overview(자산 개요) → Derivatives(파생상품)를 들어가면 내가 보낸 만큼의 USDT가 이체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3. USDT 선물거래 마켓 진입
1. 숏 포지션 개설
이제 비트코인 선물 마켓에서 숏 포지션을 개설해 보겠습니다. 상단 메뉴 중 Derivatives(파생상품) → USDT Perpetual(USDT 무기한) → 'BTCUSDT'로 들어갑니다.
포지션을 잡기 전에 펀딩비 개념만 알아보고 가겠습니다. 펀딩비(Funding Rate)란 마켓의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 더 우세한 쪽에서 불리한 쪽에 지불하는 금액입니다. 펀비가 마이너스인 경우 숏은 포지션 규모의 -0.014%를 거래소에 지불하며, 롱은 포지션 규모의 -0.014% 만큼의 액수를 거래소로부터 지급받습니다. 양수인 경우 반대입니다.
격리(Isolated)를 선택하고, Long 3x, Short 3x를 선택 후, Market(시장가)을 선택하고, Order by Qty(수량으로 주문)를 체크하고 수량을 100% 넣고, 'Open Short' 클릭합니다. 처음 포지션을 잡을 때는 청산 가격이 변하지 않는 격리로 해보겠습니다.
1) 격리(Isolated) : 포지션을 오픈하면서 증거금을 고정시킵니다. 일부러 '마진 추가/제거' 버튼으로 증거금을 넣었다 빼지 않는 이상 청산 가격이 변하지 않습니다.
2) 교차(Cross) : 선물 지갑에 있는 잔고를 증거금으로 하여 포지션을 엽니다. 지갑 내의 잔고를 넣었다 뺄 때마다 청산 가격도 계속 변합니다.
3) 지정가(Limit) : 국내 거래소의 지정가와 같은 기능입니다.
4) 시장가(Market) : 국내 거래소의 시장가와 같은 기능입니다.
5) Order by Qty(수량 주문) : 포지션을 잡을 때 수량을 기준으로 잡을 수 있습니다. 만약 Order by Cost(가격 주문)로 체크하면 USDT 가치를 기준으로 포지션을 잡을 수 있습니다. 둘 중 편한 걸로 하시면 됩니다.
6) TP/SL : 포지션 개설 창에서 'Sell Short with TP/SL'을 클릭하면 아래 사진처럼 펼쳐집니다. 롱포지션 일 경우 'Buy Long with TP/SL'을 클릭하면 됩니다.
TP / SL : TP는 Take Profit의 약자로서 쉽게 생각하면 익절 가격입니다. 포지션을 개설하면서 특정 가격이 오면 가격을 종료시키는 오더를 제출하라는 소리입니다. 그냥 지정가로 걸어놓으면 알아서 익절이 되는데 이 기능을 굳이 사용하는 이유는, 예를 들어 $21,500에 숏을 쳤다고 할 때 시간이 지나서 Last Traded Price(최근 거래 가격)가 내가 설정한 가격($20092.5)에 도달하면 그제야 포지션을 종료하는 시장가(지정가) 주문을 제출하기 때문에, 아래로 패닉 셀이 크게 나올 경우 어쩌면 내가 걸어둔 가격보다 낮은 가격에서 더 익절 할 수도 있는 효과가 있습니다.(물론 반대로 덜 익절 할 수도 있습니다)
반면 SL은 Stop Loss의 약자로서 Take Profit과는 반대입니다. 비트코인 선물 가격이 내가 정해둔 손절 가격($23762.5)에 도달하면 그때 시장가(지정가) 주문을 제출합니다. 마찬가지로 덜 손실 보거나 더 손실 볼 수가 있습니다.
2. 포지션 상태 확인
아래로 스크롤을 조금 내려보면 'Position'탭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1) BTCUSDT Isolated 3.00x : 비트코인 선물을, USDT 담보로 하여, 격리(Isolated)로, 3배 포지션을 잡았다는 것을 뜻합니다.
2) Qty(포지션 규모) : -0.013 BTC에 해당하는 규모($286)의 포지션을 잡았다는 뜻이며 마이너스인 경우 숏 포지션을 의미합니다.
3) Entry Price : 진입 가격 평균
4) Mark Price : 현재 가격을 뜻하며 이 가격이 청산 가격과 같아지면 포지션이 종료되면서 모든 증거금을 잃습니다. 오더북 상에서 우리가 체결하는 가격과는 약간 차이가 있습니다. 아래의 식에서 지수 가격(Index Price)은 메이저 거래소들의 현물 가격 평균 등을 기준으로 산출합니다.
현재가격(Mark Price) = 지수가격(Index Price) × (1 + Funding Basis)
Funding Basis = 현재펀딩비율 × (펀딩비 정산까지 남은 시간 / 펀딩 주기)
5) Liq. Price : 청산 가격을 뜻하며 Mark Price가 이 가격을 터치하면 포지션이 종료됩니다.
6) Position Margin : 증거금을 뜻하며 이 상태에서 연필 모양을 눌러 테더(USDT)를 추가로 넣으면 청산 가격이 올라가서 여유로워지고 테더를 빼면 청산 가격이 내려와서 점점 타이트해집니다.
7) Unrealized P&L(미실현 손익) : -0.1169 USDT 만큼 손실 중이라는 뜻이며, -0.12%는 손실률을 나타냅니다.
3. 숏 포지션 종료
포지션 오른쪽 끝에 Close By라고 적혀있는 곳 아래쪽에 'Limit(지정가)'를 눌러보겠습니다.
Closing Price(종료 가격)과 Closed Qty BTC(종료 수량)을 입력하고 'Confirm'을 클릭하면 주문서가 제출됩니다. 국내 거래소의 지정가 종료와 같습니다.
- 여기서 'Post-Only' 기능을 체크하면 지정가가 아닐 경우 주문서를 제출하지 않습니다. 롱 포지션일 경우 예를 들어 100원에 산 코인이 지금 시장 오더북 매매 가격이 150원인데 이때 Post-Only를 체크하고 120원에 지정가(Limit) 판매를 할 경우 원래 같으면 150원 아래로 시장가 체결이 돼버리는데 Post-Only 기능을 체크해둘 경우 아예 주문을 취소해 버립니다.
만약 지정가(Limit) 말고 Market(시장가) 버튼을 누르고 아래처럼 수량을 입력하고 'Confirm'을 클릭하면 그 자리에서 시장가로 포지션을 종료합니다.
4. Inverse 선물거래(1배숏) 마켓 진입
테더(USDT) 같은 스테이블 코인 대신 BTC, ETH 같은 변동성 자산을 담보로 선물 포지션을 잡는 거래를 말합니다. 1) 보유하고 있는 현물 자산의 헷지 2) 펀딩비 매매 등을 목적으로 Inverse 선물 마켓을 이용합니다.
리플 Inverse 마켓에서 매매를 하기 위해, 현물 마켓에서 XRP를 매수해 보겠습니다. 상단 검색창에 'XRP/USDT'를 치고 'XRP/USDT Spot'으로 들어갑니다.
담보금으로 사용할 리플(XRP)을 300개 정도 구매해 보겠습니다. 'Buy XRP' 클릭
오른쪽 상단 메뉴에서 'Asstes' → 'Assets Overview' → 'Transfer(이체)' 클릭합니다.
Spot(현물)에서 Derivatives(파생상품)로 XRP 코인을 299.7개 옮겨 보겠습니다. 처음에 300개를 매수했는데 수수료로 구매하면서 0.3개를 떼가 버렸네요.
상단 메뉴로 가서 Derivatives(파생상품) → Inverse Perpetual → 'XRPUSD' 클릭합니다.
Isolated(격리), 1x(1배)로 지정하고 Market(시장가)을 선택하고, 수량을 100% 누르고 'Sell / Short' 클릭합니다.
스크롤을 내려보면 아래처럼 포지션이 잡혀 있습니다. USDT 마켓과 다른 추가적인 부분만 설명드리겠습니다.
1) Liq. Price($31.1426) : 청산 가격이 이렇게 높은 이유는 현물 XRP를 담보로 하여 1배 선물 XRP 숏을 잡았기 때문입니다. 이 상태로 만약 가격이 오른다면 현물 수익, 숏 손해가 나고 가격이 내려간다면 현물 손해, 숏 수익이 나서 전체 자산가치는 유지됩니다. 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에서 'COIN-M 마켓 헷지 / 펀딩비 수익내기' 부분을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참고 링크 : 비트코인 1배 숏 헷지 하는 방법, USDM COINM 마켓 차이
2) Unrealized P&L : Inverse 마켓에서는 담보인 XRP의 수량이 늘거나 줄어듭니다. 숏을 쳤는데 가격이 올라가면 XRP의 수량이 줄어들고, 가격이 내려가면 XRP 수량이 늘어납니다. 일반적인 USDT 선물은 테더의 수량으로 손익 실현을 하기 때문에 많이 헷갈려하는 부분입니다.
이제 Market(시장가)을 클릭해서 포지션을 종료하겠습니다. 이상으로 바이비트 선물 거래하는 방법 포스팅을 마치겠습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
1) 바이비트 가입 방법 4단계 및 KYC 신원인증 방법
'가상화폐 > 바이비트│OKX' 카테고리의 다른 글
OKX 점프스타트 신청 방법과 후기 (0) | 2024.01.30 |
---|---|
바이비트 입금 방법 : 업비트에서 바이비트 출금 (0) | 2023.12.29 |
OKX 입금 방법 (업비트 → OKX → 카이카스) (6) | 2023.12.29 |
바이비트 거래방법 사용법 매수 매도 초보자용 (0) | 2023.12.29 |
OKX 크립토피디아 Cryptopedia NFT 보상과 참여 방법 정리 (2) | 2023.06.1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