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보라 포탈에서 NFT 민팅하는 방법을 자세히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업비트에서 리플을 전송해서 OKX를 경유하여 보라 포탈에서 민팅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사전 준비 사항 : 메타마스크 지갑 및 클레이튼 네트워크 추가
참고 링크
2) 메타마스크에 클레이튼(KLAY) 네트워크 추가하는 가장 쉬운 방법
보라 네트워크, 보라 포탈 NFT 민팅 하는 방법
보라 포탈 NFT 민팅을 하기 위해서는 최종적으로 메타마스크에 tBORA가 들어와야 합니다. 그런데 04/27 기준 업비트에서 메타마스크로 보라 코인 출금 수수료가 50 BORA(4~5 만원)로 너무 비쌉니다. 따라서 되도록이면 경유를 해서 가야 하는데요 보통 2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1) 업비트 → OKX → 보라 포탈
2) 업비트 → 클레이스왑 → 보라 포탈
클레이스왑은 자잘한 해킹 이슈가 너무 잦아서 저는 가능하면 쓰지 않습니다. 따라서 중앙거래소를 경유해서 보라와 클레이튼(KLAY)을 보내보도록 하겠습니다.
보라 NFT 민팅하는 방법
- OKX 리플 입금 및 매도
- 클레이튼 및 보라 매수
- 클레이튼 및 보라 출금
- 메타마스크에 보라 토큰 추가
- tBORA 변환
- 드롭스에서 민팅하기
1. OKX 리플 입금 및 매도
업비트에서 리플을 매수하여 OKX로 보낸 후 매도하여 클레이튼, 보라를 구입할 테더(USDT)를 확보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아래 포스팅 링크에서 '업비트에서 OKX(오케이엑스) 출금 방법' 부분을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참고 링크 : 트래블룰 이후 업비트에서 OKX 출금하는 방법
2. 클레이튼 및 보라 매수
이제 리플을 매도해서 생긴 테더(USDT)로 먼저 가스비로 쓸 클레이를 소량 매수해 보겠습니다. OKX 상단 메뉴에서 Trade → Basic Trading → klay 검색 → KLAY/USDT 행 클릭

KLAY/USDT 마켓에서 스크롤을 조금 내려서 매수 창으로 갑니다. Market(시장가) → Amout(수량)을 적고 나서 'Buy KLAY'를 클릭하여 매수합니다. 저는 10 KLAY 정도 매수해 보겠습니다.

같은 방법으로 Basic Trading → bora 검색 → BORA/USDT 행 클릭하여 BORA/USDT 마켓으로 진입합니다.

민팅에 필요한 t보라 만큼의 수량을 매수합니다. 저는 200 BORA를 매수해 보겠습니다.

3. 클레이튼 및 보라 출금
우선 입금을 받을 메타마스크 지갑 주소를 복사해 보겠습니다. Shift+Alt+m을 눌러서 메타마스크 창을 띄운 후에 지갑 주소를 클릭하여 복사합니다. 클레이튼 네트워크 추가가 안되어 있는 분들은 해당 포스팅 상단에 사전 준비 사항 링크들을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클레이튼 출금
그다음 OKX 사이트 우측 위의 메뉴에서 Assets(자산) → Withdraw(출금)으로 들어갑니다. 그다음 코인을 선택하고(KLAY), 출금 방식을 선택하고(On Chain), 네트워크를 'KLAY-Klaytn' 확인 후에 'Continue' 클릭합니다.

그다음 KLAY address에 복사한 메타마스크 주소를 붙여 넣고, 보낼 수량(Amount)을 적고 수수료(Network fee)를 확인한 후에 'Continue'를 클릭한 다음 필요한 인증(이메일, SNS 등)을 수행하고 'Confirm(확인)' 버튼을 클릭합니다.

- 만약 다른 주소가 적혀있어서 메타마스크 주소 붙여 넣기가 안될 경우 'KLAY address' 옆에 작은 화살표를 눌러 ADD a New Address를 클릭하여 새 주소를 추가해줘야 합니다.
보라 출금
이어서 보라를 출금해 보겠습니다. 우측 위에 Assets(자산) → Withdraw(출금)을 클릭합니다.
그다음 코인 선택(BORA), 출금 방법 선택(On-Chain), 네트워크를 선택(BORA-Klaytn) 하고 'Continue' 클릭합니다.

BORA address 부분에 조금 전 추가한 메타마스크 지갑 주소를 선택(없으면 붙여 넣기 해줍니다)하고 수량(Amount)을 적고 수수료(Network fee) 확인 후 'Continue' 클릭합니다.
그다음 필요한 인증(이메일, SNS 등)을 수행하고 'Confirm' 버튼을 클릭하면 전송이 완료됩니다.

4. 메타마스크에 보라 토큰 추가
그런데 메타마스크에 조금 전에 보낸 보라 토큰이 보이질 않습니다. 따라서 토큰 추가를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코인마켓캡(https://coinmarketcap.com/ko/)에 접속하여 우측 위의 검색창에 bora를 검색하고 선택합니다. 그다음 아래 사진을 참고하여 계약(Contract)으로 가서 복사 버튼을 누릅니다.

다시 메타마스크로 돌아와서 아래쪽에 '토큰 가져오기'를 클릭합니다. 그다음 조금 전에 복사한 계약 주소(Contract)를 붙여 넣으면 토큰 기호와 토큰 십진수가 자동 완성됩니다. 이제 '맞춤형 토큰 추가' 클릭하고 다시 '토큰 가져오기' 클릭

그러면 이제 아래처럼 내가 조금 전에 보낸 만큼의 보라 코인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5. tBORA 변환
민팅에 사용할 것은 '보라 코인'이 아니라 't보라 코인'이라는 점을 염두해 두시고, 보라(클레이튼 네트워크) → t보라(보라 네트워크) 변환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보라포탈스왑(https://www.boraportal.com/asset/convert)으로 접속해서 사이트에서 우측에 'Connect Wallet'을 클릭합니다.

그다음 연결할 메타마스크 지갑을 선택하고 '다음' 클릭하고 나서 '연결' 버튼을 클릭합니다.

그러면 보라 네트워크를 추가하겠다고 물어보는데요 여기서 '승인' 클릭하고 '네트워크 전환' 클릭하고 서명 요청이 나오면 '서명' 클릭합니다. 이제 메타마스크에 보라 체인이 추가되었습니다.

동의서를 한번 쭉 읽어보시고 1) '19살 이상' 2) '약관에 동의합니다.'를 체크하고 'Confirm' 클릭합니다.

이어서 tBORA 토큰 추가를 해줍니다. 그러고 나서 메타마스크 지갑을 보면 BGAS가 500개 정도 들어왔는데요 이건 보라 체인에서 조금 전 승인 과정에서 가스비로 사용할 토큰을 나눠준 겁니다. 500개면 충분히 넉넉하기 때문에 바닥날 걱정 없이 사용하시면 됩니다.

BORA → tBORA로 바꿀 수량을 적고 오른쪽에 'Convert'를 클릭합니다.

Access Contract(계약 접속)에서 Approve(승인)을 누르면 사이트에서 지금 필요한 네트워크(클레이튼)로 전환을 시켜줍니다. '네트워크 전환' 클릭

- BORA → tBORA로 갈 때는 메타마스크가 클레이튼 네트워크 상태이고
- tBORA → BORA로 갈 때는 메타마스크가 보라체인 네트워크 상태입니다
액세스 권한을 부여하기 위한 수수료(소량의 클레이)를 체크하고 '확인'을 누릅니다. 그다음 바꿀 수량을 확인하고 'Confirm'을 클릭합니다.

스왑을 위한 수수료(약 0.15 KLAY)를 체크하고 '확인'을 클릭합니다. 그다음 메타마스크 창을 열어서 네트워크를 '보라 체인'으로 바꾸면 변환한 만큼의 tBORA가 들어옵니다.

6. 드롭스에서 민팅하기
이제 tBORA를 가지고 민팅을 해보겠습니다. NFT 민팅 기간 중에 위쪽의 'Drops'를 클릭하면 진행 중인 NFT의 민팅 정보가 나옵니다. 아래쪽에 화이트리스트와 퍼블릭 라운드 중 본인에게 해당하는 것을 클릭해서 들어가 보겠습니다.


여기서 스크롤을 내려보면 진행 중인 민팅 정보가 나옵니다. 입금기간 동안 tBORA를 미리 넣어두고 민팅 기간중에는 민트 버튼을 눌러서 NFT를 구매하는 방식입니다.
화이트리스트(Whitelist) 민팅
1) 입금 기간 : 6/28 19:00 ~ 6/29 19:00 (한국시간)
2) 민팅 기간 : 6/29 20:00 ~ 21:00 (1시간)
3) 민팅 한도 : 1트잭 당 1개, 최대 지갑당 보유 캐릭터 NFT 개수만큼
퍼블릭(Public) 민팅
1) 입금 기간 : 6/29 22:00 ~ 6/30 19:00 (한국시간)
2) 민팅 기간 : 6/30 20:00 ~ 21:00 (1시간)
3) 민팅 한도 : 1트잭 당 1개, 최대 5개
입금기간 동안 'Deposit'을 클릭하여 메타마스크 서명을 하면 입금이 완료됩니다.

아래처럼 Deposit을 위한 가스 요금을 확인하고 '확인'을 클릭하면 예치됩니다. 이제 민팅 기긴중에 Mint 버튼을 눌러서 구매에 참가하면 됩니다.

'가상화폐 > 디파이, 개인지갑, NFT 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디센트 지갑 사용법 : 설치부터 NFT 전송까지 (0) | 2023.03.20 |
---|---|
메타마스크 폴리곤 네트워크 추가 방법과 폴리곤(매틱), 테더(USDT) 전송하기 (0) | 2022.11.03 |
코인워크(CoinWalk) NFT에 대해서 알아보자 (0) | 2022.05.03 |
메타마스크 지갑 만드는법 : 초간단 1분 생성 (1) | 2022.04.29 |
파이어폭스를 이용해서 디스코드 자동 번역하는 방법 (0) | 2022.04.2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