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가상화폐/디파이, 개인지갑, NFT 등

디파이 입문, 팬케이크 스왑(Pancake Swap)으로 수익을 내는 방법과 케이크(Cake) 코인 전망에 대해

by 곰지네 주인장 2021. 9. 16.

디파이에 대한 개념을 간단하게 정의한 후, 팬케이크 스왑으로 돈 버는 방법을 소개하고 마지막으로 케이크 코인의 가격 전망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디파이

탈 중앙화 금융(Defi)이라는 단어는 한번씩 들어보셨을 겁니다. 기존의 금융방식은 중앙화 된 조직에서 환전, 이자 관리, 고객 관리 등의 모든 금융 서비스를 제공해주고 중간에 수수료를 받아가는 방식이었습니다. 그렇다 보니 중간에서 관리비 명목으로 이미 떼먹고 남은 부분을 이용자들이 챙겨갔기 때문에 큰 이득을 취하기는 사실 어려운 시스템이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블록체인과 스마트 컨트렉트 기술은 이에 대한 혁신을 시도했고 중앙화 된 기관 없이 스스로 운영되는 시스템을 형성할 수 있었습니다. 중간에서 수수료를 떼먹는 중계자가 없어지니 그만큼의 이득을 사용자가 나눠 갖게 되었습니다. 이렇게 중앙의 관리자가 없이 운영되도록 조성된 생태계를 Defi(탈 중앙화 금융)라고 합니다.

팬케이크 스왑으로 돈 버는 법 알아보기

이렇게 만들어진 탈 중앙화 생태계에는 대표적인 것들이 몇 가지 있는데 그중 가장 안전한 편이고, 수익률도 준수하여, 많은 분들이 이용하는 팬케이크 스왑을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가상화폐 거래소로 치면 업비트라고 생각하시면 이해가 편합니다.(입문용으로 시작해서 졸업할 때까지 씁니다) 팬케이크 스왑으로 돈 버는 방식은 아래 3가지로 압축됩니다.

 

1. 토큰 스왑

스왑으로 직접적으로 돈을 버는 건 아니지만, 나머지 활동을 하기 위해서 기본적으로 하는 일이기 때문에 1번으로 소개했습니다. BNB 코인을 BELT, USDT, BUSD 등 다른 코인으로 바꿀 수 있습니다. 그 반대의 작용도 가능합니다.

 

아래 왼쪽 사진에서 보시면 From은 내가 지불할 코인이고 To는 내가 앞으로 바꿀 코인입니다. 교환은 시장의 평균 가격으로 책정됩니다. 우측 사진은 바꿀 코인 리스트 중 일부를 가져왔고요, 보시다시피 USDT도 있어서 여기서 바꾸면 편하긴 한데 Pancake Swap의 거래 수수료가 0.25%라서 웬만하면 필요한 코인을 바이낸스에서 사서 가져오는게 났습니다. 그리고 슬리피지(거래량이 적을 경우 원하는 호가에 체결이 안되고 더 불리하게 체결되는 현상)라는 함정이 있기 때문에 스왑을 하실 경우 적은 액수로 거래량 감을 잡고 점점 키우면서 시도한다면 비교적 효율적인 자산 변환을 할 수 있을 겁니다.

토큰 스왑 과정과 리스트를 설명해주는 사진
토큰 스왑 과정과 리스트 일부

2. 파밍(Farming)

아래 사진은 파밍 상품들입니다. 방식은 거래 쌍을 1:1이나 특정 비율로 파밍 풀에 맡기는 겁니다. 예를 들어 GNT-BNB 거래 쌍을 선택했으면 GNT 100원 어치 BNB 100원 어치를 파밍 풀에 맡기고 내버려두는 겁니다. 그러면 이미 조성된 생태계의 알고리즘에 따라 알아서 필요한 사람에게 GNT와 BNB를 빌려주고 상환받고 그런 일련의 과정을 알아서 수행합니다. 인기 있는 애들 중에서 제가 흥미 있는 것 2가지를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파밍 리스트 정리했고 APR에 네모박스를 쳐놨음
인기순으로 정렬한 파밍 리스트

 

(1) GNT-BNB 페어 

아래 사진에서 APR이 약 322%라는 말은 1년 동안 자산을 맡겼을 때 받을 수 있는 이자율을 말합니다. 이자는 당일 시세에 맞게 Cake 코인이 지급됩니다. 만약 GNT와 BNB의 가격이 하나도 바뀌지 않고 제자리라고 가정하면 322%의 수익이 발생한다는 소리입니다. 그런데 이자율이 계속 바뀐다는 점 알아두셔야 하고, 제가 볼 때 300% 대는 좀 높아 보이네요 아마 점점 떨어질 겁니다.

GNT-BNB 파밍 페어 상세를 보여주고 있음
GNT-BNB 파밍 페어 상세

만약 가격이 올라간다면 수익률이 이자(APR)에 더해서 코인 자체의 가격 상승분까지도 받을 수 있지만 떨어지면 하락분을 감수해야 하죠, 그렇지만 1년 이자율이 300% 수준이라서 하락분이 좀 생겨도 이자로 메꿀 수 있는 거고 그렇게 잘 안풀려도 본전은 챙길 거라 생각하고 투자하는 겁니다. 다만, 비영구적 손실이라는 부분을 고려해야 하는데 다음에 리스크 부분에서 다뤄보겠습니다.

 

(2) BUSD-BNB 페어

저는 이게 좀 더 취향이네요, 안전한 상품을 원하는 분들은 BUSD-BNB를 선택할 것 같습니다. BUSD는 스테이블 코인입니다. 가격 변동이 없고, 우선은 달러와 같다고 생각하셔도 무방합니다. 그다음 BNB의 경우 Binance의 거래소 코인이죠 항상 우 상향까진 아니어도 다른 스캠들보다는 가격 방어가 잘 되는 코인입니다. 이자율이 1년에 약 31.6% 정도인데 BUSD는 변동이 없다고 가정했을 때, BNB가 계산에 따라 다르지만 한 30~40% 정도 하락하지 않는 이상 본전이 보장된다고 보시면 됩니다. 

BUSD-BNB 파밍 페어 상세를 보여주고 있음
BUSD-BNB 파밍 페어 상세

3. 스테이킹(풀)

거래소 처럼 디파이에서도 스테이킹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수익률이 상당해서 팬케이크 스왑이 먹튀만 하지 않는다면 바이낸스에 맡길 이유가 없어지는 수준입니다. 아래 사진은 인기순 리스트 몇 가지를 가져왔습니다. 대부분의 상품이 1년 이자율이 50%를 넘어갑니다. 마찬가지로 아래 코인중 하나를 사서 맡겼을 때 코인 가격이 오른다면, 코인 가격 상승분 + 이자율까지 챙겨 먹을 수 있는 겁니다. 하락한다면 이자율로 하락을 메꾸는 개념이 되겠죠? 따라서 만약 장기 홀딩하실 분들은 그냥 거래소에 들고 있지 말고 이곳에 맡겨두시는 게 여러모로 좋아 보입니다.

스테이킹 풀 리스트를 보여주는 사진
스테이킹 풀 리스트

 

오토케이크(Auto Cake)

제가 가장 좋아하는 금융 상품입니다. 단순하게 내가 매수한 케이크를 이곳에 맡겨두면 보상으로 케이크가 나오는데 시스템이 알아서 그걸 모아서 다시 맡기고 다시 보상받는 복리식 구조입니다. 연간 이자율이 83.58%인데 이건 아까 말한 복리식 스테이킹이 적용되었을 때 이자율입니다.

Auto Cake 상세 설명을 보여주고 APR에 빨간 네모박스
Auto Cake 상세 설명

헷지를 통해 Cake에 숏을 쳐놓고 현물로 Cake를 매수해서 스테이크 한다면 안전하게 이자율만 받을 수 있는 방법도 있긴 합니다. 그렇지만 대부분 거래소의 Cake 펀딩비가 음수라서 숏을 칠 경우 거꾸로 돈을 줘야 해서 그다지 추천드리고 싶은 방식은 아닙니다. 차라리 조정이 왔을 때 우상향을 노리고 바닥 부근에서 공격적으로 매수하는 게 나아 보입니다.

케이크 코인 알아보기

케이크 코인의 가격이 앞으로 계속 오를지가 궁금하신 분들이 많을 것 같아서 정리를 조금 했습니다. 케이크 코인은 한마디로 거버넌스 토큰입니다. 공동체의 의사결정을 위한 투표권을 행사하는 토큰 정도의 개념으로 이해하시면 됩니다. 

1. 거버넌스 토큰

예를 들어 생태계 발전의 방향성을 결정할 때 안건 1, 안건 2 등이 나오면 케이크 코인을 보유한 수량대로 투표권을 통해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습니다. 투표에 참여하면 보상도 받고요. 그리고 요새는 NFT 상품들을 Cake 코인을 보유한 수량대로 보상을 나눠주는 모양입니다. 그만큼 보유자들에게 돌아가는 몫을 많이 신경 쓰는 요즘입니다.

 

그런데 이게 과연 가격이 올라갈지를 알아하는 게 가장 중요한 요소겠죠? 결론부터 말하면 가능성이 높습니다. 아래 쟁글의 케이크 공지사항을 보시면 주기적으로 소각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소각 → 희소성 상승 → 가격 상승'의 단순한 패턴이지만 꾸준히 소각을 진행하면서 가격을 유지 또는 상승시키는 모습입니다. 

쟁글 케이크 코인 관련 공지사항
쟁글 케이크 코인 관련 공지사항

2. 차트 분석

아래 차트를 보시면 2~4월 장 광기로 가격이 치솟은 후 5월 19일 큰 하락을 맞이하고 나서 기간 횡보를 충분히 거치면서 바닥을 다지는 모습입니다. 그 후 7월 21일 이후 우상향 차트를 타면서 가격이 천천히 오르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고요, 눈치 빠른 분들은 5월 19일 ~ 7월 21일 사이에 매수를 받아서 스테이킹을 맡겼을 가능성이 큽니다. 왜냐하면 그 때 추가로 하락한다고 쳐도 1년 이자율이 거의 90프로라서 이자가 하락을 메꾸면서 최소 본전은 챙길 수 있기 때문에 오히려 안전한 투자 방식이 되는 겁니다. 심지어 이번엔 가격까지 올라서 수익+이자율까지 챙긴 상황입니다.

Cake 바이낸스 일봉 차트이며 5월19일, 7월 21일에 세로선을 그어놨음
Cake 바이낸스 일봉 차트

 

 

오늘은 본격적으로 팬케이크 스왑을 이용하기 전에 디파이의 개념을 간단하게 알아보았고 수익을 내는 방식과 케이크 코인의 전망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다음번에는 실제로 투자하는 방법을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 보내세요.

 

이어지는 글

 

 

모든 투자에 대한 책임은 본인에게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