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가상화폐/디파이, 개인지갑, NFT 등

팬케이크 스왑(Pancake Swap) 하는 법 feat. 오토케이크, 유동성 파밍

by 곰지네 주인장 2021. 9. 21.

팬케이크 스왑 하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메타마스크와 BSC(Binance Smart Chain) 연동, BNB 코인 매수 후 메타마스크로 전송, Pancake Swap과 메타마스크 연동, 오토케이크(Auto cake) 풀 개설, 파밍 페어 개설을 해보겠습니다.

 

지난번에 바이낸스 회원가입, 메타마스크 지갑 생성하는 방법과 Pancake Swap이 뭔지, 케이크 코인의 전망은 어떤지를 알아보았습니다. 아래 링크를 참조하셔서 먼저 읽어보고 오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팬케이크 스왑 하는법

우리가 디파이를 한다고 하면 일반적으로 탈 중앙화 거래소(DEX)를 이용하여 스테이킹, 유동성 풀에 코인을 넣고 이자를 받는다는 것을 뜻합니다. 팬케이크 스왑은 이러한 DEX 중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가장 수수료가 저렴한 거래소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Pancake Swap에서 수익을 내는 방식은 지난번에 소개해드린 것처럼 다양한데요 개인의 투자 스타일에 따라 무엇을 선택하든 자유입니다. 제가 개인적으로 생각하기에 그중에서도 가장 기본이 되고 가장 수익내기 쉽다고 생각되는 오토케이크를 먼저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1. 메타마스크와 BSC 연동

제일 먼저 바이낸스 스마트체인(BSC)과 메타마스크를 연동시켜서 서로 코인을 주고받을 수 있는 상태를 만들고 시작하겠습니다.

 

(1) 메타마스크를 실행시키고 로그인을 하시면 우측 위 메뉴에 이더리움 메인넷 이라고 적힌 메뉴바가 보입니다. 이걸 누른 후에 '맞춤형 RPC' 클릭

(2) 아래처럼 입력하고 '저장' 눌러주세요. 우클릭 안 되는 점 양해 바랍니다. (_ _)

  • 네트워크 이름 : Binance Smart Chain
  • 새 RPC URL : https://bsc-dataseed.binance.org
  • 체인 ID : 56
  • 통화기호 : BNB
  • 블록 탐색기 URL : https://bscscan.com

메타마스크에서 BSC 체인을 추가하고 이더리움 메인넷에서 BSC로 바꾸는 과정
맞춤형 RPC 에서 BSC체인 연결하는 과정

간단 설명

  • 네트워크 이름은 'Binance Smart Chain'이라고 임의로 지어준 겁니다.
  • 'RPC'는 'Remote Procedure call'의 약자로서 '원격 프로시저 호출'이라 하여 다른 주소 공간에 있는 함수나 프로시저를 호출해서 사용할 수 있는 기능 정도로 알아두시면 됩니다. URL은 이제 그것들이 담겨있는 주소를 뜻하고요, 실제로 저장된 장소에는 엄청 복잡한 함수와 쿼리 값들이 있겠지만 우린 그것을 호출해서 사용만 하면 되기 때문에 간단하게 URL 주소만 넣어주시면 됩니다.
  • 체인 ID는 메타 마스크에서 등록된 바이낸스 스마트 체인의 고유 넘버입니다. 큰 의미는 없고 56번째로 등록이 된 겁니다.
  • 통화기호는 BNB코인을 화폐로 사용한다는 뜻이고요,
  • 블록 탐색기는 해당 주소로 들어가 보시면 비앤비와 관련된 모든 실시간 거래 데이터와 지갑 주소들이 세세하게 기록되고 있습니다. 

(3) 이제 Binance Smart Chain으로 메인화면이 바뀌었습니다.

 

2. BNB 코인 매수 후 전송

바이낸스에서 비앤비 코인을 매수해서 MetaMask로 출금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어차피 보낸 후에 Auto Cake를 하실 분은 Cake 코인으로 스왑 하고, 다른 유동성 풀을 만드실 분들은 해당 코인으로 스왑 하면 되기 때문에 거래소에서 미리 그 코인을 사서 보내도 되긴 합니다. 다만, 모든 과정에서 수수료로 비앤비를 사용하기 때문에 잘못하면 MetaMask에서 거래 수수료로 지불할 비앤비가 하나도 없어서 바낸에서 다시 사서 보내는 웃지 못할 상황도 생기기 때문에 처음에는 스왑도 해볼 겸 소액으로 비앤비를 바로 보내보도록 하겠습니다.

 

(1) 바낸 왼쪽 위 메뉴에서 'Markets' 클릭 → 'Spot' 누르고 'FIAT Martkets' 누르고 'USDT' 클릭 후 검색창에 bnb를 검색 후 BNB/USDT 행 우측의 'Trade' 클릭

Binance Spot 마켓에서 BNB를 검색한 화면
바낸 SPOT(현물) 마켓 진입

 

(2) 원하는 수량을 입력하고 매수합니다.

(3) 바낸 우측 위 메뉴에서 'Wallet(지갑)' 누르고 → 'FIAT and Spot(법정화폐 및 현물)' 클릭 

Binance 에서 비엔비를 매수하고 있고, 우측 상단 Wallet 클릭 후 나타나는 목록
바낸 매수 화면 및 우측 상단 메뉴

 

(4) 아래에 내가 보유한 코인들이 나옵니다. BNB 코인 행 옆에 'Withdraw(출금)' 클릭 → 잠시 메타마스크로 돌아가서 위쪽에 주소 '복사하기' 버튼 클릭

비엔비 지갑에서 출금버튼에 빨간 네모박스 및 우측에는 메타마스크 주소 복사하는 장면
(좌) 바낸 지갑 화면 (우) 메타마스크 BNB 보유 수량

 

(5) 코인 이름 BNB 확인하고, Address에 아까 복사한 주소 붙여 넣기, Network가 BSC(Binance Smart Chain)인지 확인 → 수량 지정 후 'Withdraw(출금)' 클릭해주세요. 제가 보낼 땐 수수료가 0.0005 BNB네요(약 230원) 

(6) BSC를 지원하는 플랫폼인지 재차 확인하는 문구가 나옵니다. 아까 연동해놨기 때문에 메타마스크에서 지원하고 있습니다 'Confirm' 클릭

왼쪽에는 출금 주소를 넣었고 우측에는 BSC 네트워크가 맞는지 재차 확인하는 창
바낸 출금 화면1

 

(7) 출금 주문 내역을 마지막으로 확인합니다. 'Continue' 클릭 → 이메일, SMS, 구글 OTP 등 본인에게 해당되는 인증을 수행 후 'Submit' 클릭 → Withdrawal Request Submitted(출금 요청 제출 완료)라고 나오면 'Complete(완료)'를 누르고 1~3분 정도 기다려줍니다.

출금 성공이라는 문구가 적힌 메시지
바낸 출금 확인

 

3. 팬케이크 스왑과 메타마스크 연동

(1) 메타마스크 메인화면에 보면 수수료를 제외하고 내가 보낸 만큼의 BNB가 입금되었습니다. 

(2) Pancake Swap에 접속합니다 → 화면 중간에 바로 'Connect Wallet(지갑 연결)' 눌러주세요

왼쪽에는 Metamask 비엔비 보유수량 우측에는 Pancake 스왑 메인화면 Connect Wallet을 누르려고함
(좌) MetaMast 보유 잔액 (우) Pancake Swap 접속 초기 화면

 

(3) 'Metamask' 모양 여우를 선택합니다 → 우측에 연결하는 창이 나오면 내가 BNB를 보낸 계정을 선택하고 '다음' 클릭하세요 → 연결할 것인지 여부를 다시 물어보면 '연결' 눌러주세요

Pancake Swap과 메타마스크를 연결하는 과정
Metamast 연결 과정

 

(4) 메인화면 중앙 위쪽에 'Connected with 지갑 주소'라고 나타나면 성공한 것입니다.

 

4. 코인 스왑(Exchange)하기

만약 Pool 메뉴에서 오토케이크를 이용하실 분들은 풀에 넣을 만큼의 케이크만 확보해주시면 되고, Farms 메뉴를 통해 유동성 공급을 하실 분들은 해당 코인의 가격 비율이 1:1이 되게끔 코인을 확보해주시면 됩니다. 예를 들어 Farms에서 BNB-BUSD 풀을 이용하실 거면 두 개의 수량이 아닌 가격 비율이 1:1이 되게끔 코인을 가지고 있으면 된다는 말입니다. 물론 정확하게 가격 비중을 반반 똑같이 나누는 건 좀 어렵습니다.   

 

(1) 왼쪽 상단 메뉴에서 'Trade(거래)' 누른 후 'Exchange(교환)' 클릭

토큰스왑을 하기위해 Trade를 누르고 Exchange를 클릭
거래(Trade) → 교환(Exchange)

 

(2) From에 BNB 원하는 수량을 넣고 → To 아래에 Select a Currency(화폐 선택)를 눌러서 'Cake' 검색 후 해당 행을 클릭

Exchange 메뉴에서 교환할 비엔비 숫자를 넣고 Cake로 바꾸는 장면
토큰 스왑 과정1

 

(3) 이러면 비엔비 수량에 맞게 케이크로 자동으로 계산이 됩니다. 'Swap' 버튼을 누르고 → 주문 확인 창에서 'Confirm Swap' 클릭

(4) 우측에 MetaMast 거래 내역서가 생기는데요, 중간에 Max Fee라고 0.000813 BNB라고 적혀있는 부분은 BSC에서 추가로 뜯어가는 수수료입니다. 이 값은 얼마로 개설해도 값은 크게 바뀌지 않고 아주 소액입니다. '확인' 눌러주세요 → Confirm Swap이라고 뜨면서 교환이 완료되었습니다. 여기서 Liquidity Provider Fee는 유동성 공급자에게 주는 수수료예요 잠시 후 아래쪽에서 설명하겠습니다.

위에서 계산한 비엔비 대비 Cake를 교환할 건지 물어보는 사진
토큰 스왑 과정2
주문 확인 및 토큰 스왑에 대한 수수료를 지불하는 윈도창
토큰 스왑 과정3

알아둘 점

  • Price 영역의 0.0544784 BNB Per Cake는 1 Cake당 바꾸는 BNB 개수이고, 맨 아래쪽의 Minimum Received는 내가 주문한 수량에서 슬리피지(호가창 얇아서 생기는 손해)나 가격 변동이 생겨 손해가 나도 최소 이 정도는 보장받을 수 있다는 뜻입니다.
  • Price Impact는 많은 물량을 한 번에 교환하면 점점 높아지는데 풀에 BNB와 Cake가 일정하게 수량이 있는데 만약 내가 대량으로 BNB를 풀어버리고 Cake를 가져가면 두 코인의 비율이 어긋나는데 이에 대한 페널티 정도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해결책으로는 한 번에 하지 말고 조금씩 많이 바꾸면 됩니다. 사진상으로는 워낙 소액이라 0.01%로 책정되었고 계산된 가격과(Estimated Price) 현재 시장 가격의 차이가 0.01% 이하로 거래가 체결된다는 뜻입니다. 
  • 그리고 아래 사진을 보면 총 거래 금액의 0.25%를 수수료로 냅니다. 그중 0.17%는 LP(유동성 풀) 홀더에게 가고, 0.03%는 Treasury(보관), 0.05%는 소각이나 매입 등으로 활용됩니다. 왜 LP 홀더에게 지급해주냐면 유동성 풀에 코인 쌍이 충분히 있어야 코인 교환도 잘 되고 생태계가 잘 돌아가겠죠? 그래서 그에 대한 대우로 수수료를 주는 겁니다. 거래소로 치면 메이커(지정가) 수수료가 저렴한 거랑 비슷한 원리입니다. 나중에 해볼 거지만 Pools 메뉴에서 유동성 풀을 생성하실 수 있습니다.

팬케이크 스왑 유지 수수료에 대한 상세 설명
토큰 스왑 수수료

 

5. Pools 메뉴에서 Auto CAKE 풀 생성하기

이제 오토케이크 풀을 직접 만들어 보도록 하겠습니다. 이곳의 모든 디파이 상품들은 이용하기 전에 활성화를 시켜야 합니다. 한번 활성화시키면 계속 사용할 수 있고 한 번에 드는 돈은 그때마다 다른데 원화로 500원 정도 합니다. 저렴하죠? 바로 시작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유니 스왑은 이런 세세한 단계별로 드는 비용이 몇 만 원씩 됩니다. ㄷㄷ

 

(1) 왼쪽 위 메뉴에서 Earn을 누르고 Pools 클릭

(2) 다양한 디파이 상품들이 있지만 이 중에서 저는 Auto CAKE를 하겠습니다. 'Enable(활성화)' 클릭 → 이 사이트를 신뢰하는지 여부를 물어봅니다. 저는 신뢰하기 때문에 '확인' 누르겠습니다. 사진을 보시면 수수료가 0.09$이고 그에 준하는 BNB를 지불해야 합니다. → 이제 20초 정도 기다리면 버튼이 Stake로 바뀌면서 활성화가 끝납니다. 

좌측은 오토케이크 활성화, 우측에는 활성화 수수료
AutoCake 활성화 및 수수료 지불

(3) 이제 Stake 버튼을 눌러 CAKE 코인을 풀에 예치해 보겠습니다 → 'MAX' 버튼을 눌러 전부 맡길게요 그다음 'Confirm' 클릭

케이크를 풀에 넣고 풀을 만드는 과정1
Auto Cake Stake 및 수량 입력

 

(4) 우측에 풀을 생성할 건지 여부를 물어보는 메타 마스크 창이 또 뜹니다 수수료 확인하고 '확인' 클릭 → 20초 정도 기다립니다 → CAKE STAKED 쪽을 보면 내가 맡긴 수량이 나옵니다. 이제 성공적으로 예치가 되었습니다. 케이크를 빼고 싶으면 사진에서 - 버튼을 누르고, 더 넣고 싶으면 + 버튼을 누르면 됩니다. 다만, 풀을 만들고 나서 72시간이 되기 전에 CAKE를 뺄 경우 생태계 유지 수수료를 내야 합니다. 따라서 중간에 뺄 계획이 있으시면 예치 후 72시간이 지나고 나서 빼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케이크 풀을 만드는데 드는 수수료와 생성 완료된 직후 사진
수수료 지불 및 Auto Cake 스테이킹 확인

 

6. Farms 메뉴에서 CAKE-BNB 생성하기

Farms 메뉴를 이용하시는 분들은 해당 페어의 LP 토큰을 받아야 합니다. 예를 들어 CAKE-BNB 풀을 생성할 때 CAKE 코인과 BNB 코인을 1:1로 넣는 게 아니라 두 개의 1:1 가치에 해당하는 LP 토큰을 새로 받아서 넣는 개념입니다.

 

(1) 왼쪽 상단 메뉴에서 'Earn'을 누르고 'Farms' 클릭 → CAKE-BNB 페어를 찾아 가운데에 Enable Contract를 누르고 메타마스크 창이 뜨면 수수료 체크 후 '확인' 누르고 20초 정도 기다리면 아래 사진처럼 'Stake LP'로 버튼이 바뀝니다.

(2) 이제 LP 토큰을 받아보겠습니다. 아래쪽에 'Get CAKE-BNB LP'를 클릭해주세요. Balance 쪽에 수량을 체크하는데 가끔 로딩이 길어지면 심할 때는 10분 정도 걸릴 때도 있습니다.

유동성 풀 생성하는 것과 이를 위해 필요한 LP 토큰 받는 과정
CAKE-BNB 유동성 풀 생성과 LP 토큰 받는 과정

 

(3) BNB옆에 수량을 입력하겠습니다. 내가 가진 수량이 0.0147개니깐 넉넉하게 0.012개 정도 넣겠습니다 → 'Supply' 클릭 → 다시 한번 내역을 확인 후 'Confirm Supply' 클릭

비엔비 수량을 지정하는 사진과 받을 수 있는 LP 토큰의 수량
LP 토큰 생성관련 수량입력과 확인창

 

(4) 우측에 메타 마스크 윈도가 뜨면 총합계(0.013162 BNB) 체크하고 '확인' 클릭 → 20초 정도 기다린 후 다시 'Stake LP' 누르고 이번엔 CAKE-BNB LP 옆에 수량을 넣어주세요 이번엔 'Max'를 눌러 가지고 있는 LP토큰을 전부 예치하고 'Confim'을 눌러줍니다

LP토큰 생성 수수료와 넣을 LP 토큰 수량 확인
(좌) 토큰 생성 수수료 지불 (우) 풀에 유치할 LP 토큰 수량 확인

 

(5) 우측에 수수료 내라고 나옵니다 '확인' 눌러주세요 → 20초 정도 기다리면 사진처럼 Harvest가 활성화되면서 파밍 유동성 풀 생성을 완료했습니다.

유동성풀 생성 수수료와 생성 완료된 후 바뀌는 사진
(좌) 유동성 풀 생성 수수료 (우) 풀 생성 완료 창

 

(4) 한 번씩 들러서 'Harvest(수확)'를 누르면 그동안 보상으로 지급된 이자를 받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나중에 파밍 유동성 풀을 제거하고 싶으면 - 버튼을 눌러 MAX만큼 수량을 다 빼주시면 됩니다.

 

주의할 점 2가지

  • 유동성 풀을 만들 때는 항상 수수료를 생각해주세요. 예를 들어 제 경우 BNB에 0.014를 입력하면 0.001265 BNB 정도의 수수료가 나오는데 그러면 0.014 BNB+0.001265 BNB=0.015265 BNB가 들어가는 건데, 내가 가진 BNB 총개수인 0.0147개보다 많아서 파밍 유동성 풀이 생성이 안됩니다.
  • 그리고 나중에 유동성 풀을 제거할 수수료를 생각해주세요. 만약 제가 BNB에 0.013을 입력하면 수수료인 0.001265 BNB를 더해서 0.013+0.001265=0.014265 BNB 가 돼서 내가 가진 수량보다는 적어서 파밍 페어가 생성은 됩니다. 다만, 나중에 해지할 때 수수료가 0.001265 BNB 정도가 들 텐데 내 수중에 이 만큼의 BNB가 없다면 또 바낸에서 가져오는 귀찮은 일이 벌어집니다.  

 

마치며

여기까지 따라온다고 고생 많으셨습니다. 단순 매매를 벗어나 시드의 일부로 디파이를 투자한다면 가상화폐 투자 실력을 한 단계 업그레이드할 수 있을 겁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좋은 하루 보내세요.

댓글